엑셀 날짜 계산 (함수 days360 사용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확실한 엑셀에서 날짜의 계산을 함수인 days360을 사용하는 방법 안내



단순히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에 끝나지 않고,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산술적 처리를 하는 것에도 활용할 수 있는 요긴한 툴이죠? 물론 기간을 구하고 싶은 경우에도 기능을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다만 엑셀 날짜 계산을 하는 과정을 알아둬야 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겠죠.



기간을 구할 때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데, 제목에 적어둔 days360 함수는 한 달을 30일로 정하고 1년을 360로 정해서 엑셀 함수 날짜 계산을 해주는 방식이며, 보통은 임금을 처리할 때 많이 활용합니다. 자세한 활용 과정은 아래쪽에 세세하게 정리를 해두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아요.



▼ 우선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문서를 열고 결과가 나올 칸을 선택해주세요. 문서 실행 과정은 간단하니, 자세한 과정을 설명하지 않아도 되겠죠?



▼ 칸을 선택한 뒤에는 =days360( 까지만 입렵을 해주세요.



▼ 이제 시작하는 값과 종료하는 값을 각각 입력해야 하는데, 그냥 칸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좌표가 추가됩니다. 좌표와 좌표는 쉼표로 구분을 해주세요.



▼ 좌표를 추가한 뒤에는 괄호를 다고 엔터를 눌러주세요. 그럼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여러 개를 처리해야 할 땐,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수십을 넓혀주면 되겠죠?



▼ 여담으로 임금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기간에 임금을 곱해주면 되니, 아래 이미지처럼 임금을 따로 데이터에 입력하고, 완성된 수식에 곱해주면 됩니다.



부족한 글이었지만, 문서 작업을 하는데 조금은 보탬이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여기서 물러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