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동영상 편집이 전문가의 영역으로만 여겨졌었는데 요즘에는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지만 직접 미디어 제작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졌고 매직원을 찾는 경우도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해당 프로그램의 공식 루트는 사라진 상태이고 2.0을 구하는 방법이 모호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관련 정보들을 검색하게 되는데 제가 보탬이 되려 이번에 설치 파일을 깔끔하게 구할 수 있는 루트를 적어두었으니 필요하다면 아래의 정보를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핵심적인 내용부터 얘기를 하자면 브라우저에 [goo.gl/Kw6zpE]를 적고 엔터를 누르면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프로그램의 설치 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POPUTAL]이라는 자료실의 주소이며 고유 주소를 제가 짧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대문자와 소문자 및 숫자를..
단순히 텍스트만을 이용해서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료도 충분히 활용을 해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가장 효과가 좋은 한가지라고 한다면 아마도 동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하는데요. 좌우지간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핵심적으로 잘 전달을 하기 위해서 사용을 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 한가지 바로 파워포인트가 아닐까 생각을 하는군요. 이미 다들 잘 아시겠지만 파워포인트의 경우 각종 추가적인 자료도 함께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그래서 제가 여러분들에게 전해드리고자 하는 오늘의 이야기 주제! 바로 파워포인트 동영상 링크를 걸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가 되겠습니..
문서 자료의 용량이 커지면 실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보관도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품질에 손상이 없다면 가급적 압축을 해서 문서의 용량을 작게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용량이 큰 pdf파일도 예외라 할 수는 없죠. 그래서 용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찾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이번에 웹 기능을 시작으로 해당 자료를 취급할 때 활용하기 적당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까지 적어두었으니 혹시 필요로 하고 있었던 내용이라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웹 도구는 [smallpdf.com/kr]입니다. 고로 프로그램을 구하고 설치하는 과정이 귀찮고 단발적인 압축이 목적이라면 브라우저에 적어둔 주소를 입력하고 찾아가면 됩니다. 그럼 다양한 메뉴들이 나열된 페이지가 뜨는데 첫..
PC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드라이버의 업데이트 혹은 다른 이유로 인해 내컴퓨터의 성능을 체크해야 할 순간이 왕왕 있는데 그래픽카드의 모델명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라면 운영체제의 기능을 써서 간단하게 체크가 가능합니다. 물론 절차가 쉽다고 해도 내용을 알아둬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데 이번에 두 가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글을 적어두었으니 혹시 필요로 하시던 내용이라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첫 번째 방법은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 Pause Break]을 눌러주는 것입니다. 그럼 시스템 화면이 띄워지게 되는데 좌측에 있는 장치 관리자 탭을 선택합니다. 이어서 장치 목록이 나오면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하위 항목을 살펴보면 사용하고 있는 내컴퓨터 그래픽카드의 모델 이름을 체크할 ..
보안성이 뛰어나고 호환성도 좋아서 여러모로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포맷이지만 사실 다뤄야 할 입장이 되면 PDF는 다소 꺼려지는 유형이기도 하죠? 게다가 편집 프로그램이 대부분 상용이라 적당한 Editor를 구하는 것도 쉽지가 않은데 이럴 땐 ezPDF를 선택하면 됩니다. 개인이 쓴다면 아무런 제한 없이 활용할 수 있죠. 그래서 3.0을 이미 선택하신 분들도 많은데 혹시 해당 도구를 써보고 싶지만 실행 파일을 받는 방법이나 다루는 절차를 모르겠다면 아래 참고하실 수 있는 글을 적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깔끔하게 핵심부터 얘기를 하자면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3.0 버전은 공식 홈페이지인 [www.unidocs.co.kr/product.do]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고로 가장 먼저 해야 할..
컴퓨터로 일을 하다 보면 오피스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내용을 종이로 옮겨야 할 상황이 있는 반면 종이에 있는 내용을 PC로 옮겨야 할 순간도 있는데 장치만 있다면 언제든지 간단히 스캔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장치를 쓰는 방법이 쉽다고 해도 방법은 알아두어야 하는데 이번에 윈도우10을 중점적으로 종이에 있는 내용을 이미지 파일로 바꾸는 절차를 엮었으니 혹시 필요로 하던 정보였다면 아래에 적은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장치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있다면 별도로 다른 도구를 구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윈도우10에 자체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그림판이 스캔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이죠. 눈치가 빠른 분들은 아셨겠지만 다른 버전의 운영체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으며 윈도우10 스캔을 하고 싶을 때 ..